강릉 학산 오독떼기

옛날 농민들은 힘들고 바쁜 일 속에서 피로를 잊고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노래를 부르며 일했는데. 이러한 노래를 ‘일노래(농요)’라 하는데 ‘들노래’ 또는 ‘농사짓기 소리’라고도 한다.

농요의 주제는 농사와 관계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크게 논농사소리와 밭농사소리로 나눌 수 있고 1년 동안의 주요 농사과정이 표현된다. 이러한 모든 농요는 우리나라 어디서나 같은 형태로 불리는 것은 아니고, 지역에 따라서 종류나 노랫말의 내용, 노래 부르는 방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일노래는 경상도의 고성농요와 예천통명농요가 있고, 전라남도 진도의 농요는 남도들노래라는 명칭으로 지정되어 있다. 강릉학산오독떼기도 강원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강릉 학산 오독떼기 1
  • 강릉 학산 오독떼기 2
  • 강릉 학산 오독떼기 3

강릉단오제에서 보여지는 강릉학산오독떼기는 농사 지으면서 피로를 잊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오독떼기는 지방에 따라 노래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강릉 학산오독떼기는 강릉 지역을 대표하는 토속민요이며, 신라의 향가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세조 임금이 오독떼기를 잘 부르는 사람을 뽑아 노래하게 하고 상을 주었다는 기록도 있다.

오독떼기에 대한 의미로 ‘오’는 신성하고 고귀하다는 뜻에서, ‘독떼기’는 들판을 개간한다는 뜻에서 생겼다는 얘기도 있다.

내용은 1년 농사의 전 과정에 따라 다른 내용으로 불린다.

‘밭가는 소리’는 소로 밭이나 논을 갈면서, ‘모찌는 소리’는 모를 옮겨심기 위하여 모판에서 모를 뽑아 묶으면서, ‘모내기소리’는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김매기소리’는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인데, 오독떼기는 좁은 의미로 김매기 소리만을 가리키기도 한다. 김매기 소리가 가장 다양한 형태로 불린다.

‘벼베기 소리’는 벼를 베어 거두면서 부르는 노래로 ‘불림’이라고도 하고, ‘타작소리’는 ‘도리깨질소리’라고도 하며 농사를 마치는 과정으로 가장 흥겨운 노래이다.

강릉단오제에서 오독떼기 하는 모습은 농사 방법이 기계화 되어 이제는 볼 수 없는 옛 농사 모습을 떠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담당부서 정보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 전화번호033)660-3941
  • 최종수정일2023.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