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팝업존 열기 팝업존 닫기

강릉시 단오제전수교육관

주메뉴 열기

GANGNEUNG DANOJE

천년의 어울림 강릉단오제

관노가면극은 강릉단오제 때에 관노들이 행했던 놀이로 춤과 동작으로만 보여주는 우리나라 유일의 무언가면극이다. 강릉지역과 관련 있는 신들이 인간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신화적 연극이라고도 하며. 강릉단오제의 성격을 잘 드러내주는 민속연극이다.

백성과 관청이 함께 해 온 강릉단오제의 성격을 말해주는 민속극으로 그 내용은 마을공동체의 질서를 표현하고 있다. 지역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고 신에게 제사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가면극이다.

강릉의 역사책인 ‘임영지’에 무당굿과 광대들에 의하여 놀이가 계속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관노가면극의 오랜 역사를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전통문화 활동이 금지되어 끊겼다가 1960년대 들어 재연되었고, 1967년 1월 강릉단오제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지금까지 강릉단오제의 중요한 행사로 행해지고 있다.

등장인물은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2명, 장자마리 2명이며, 그 외 악사들이 있다.

놀이 내용은 모두 다섯 마당으로 이루어진다.

관노가면극 사진1
관노가면극 사진2
01
첫째 마당
  • 배불뚝이 장자마리가 춤으로 시작하는 마당
  •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두 명의 장자마리가 등장하여 춤을 추며 놀이마당을 시작한다.
02
둘째 마당
  • 양반광대와 소매각시의 사랑놀이 마당
  • 양반광대와 소매각시가 등장하여 춤을 추며 사랑놀이를 보여준다.
03
셋째 마당
  • 시시딱딱이의 춤과 사랑놀음 훼방마당
  • 시시딱딱이 두 명이 등장하여 춤을 추며 양반과 소매각시의 사랑놀이를 방해한다.
04
넷째 마당
  • 소매각시의 자살소동마당
  • 양반이 시시딱딱이와 놀았다고 의심하자 소매각시가 양반의 수염에 목을 매어 자살한다.
05
다섯째 마당
  • 화해의 마당
  • 대관령국사성황신께 빌어 죽었던 소매각시가 살아나고 사랑과 용서로 모든 사람들이 화해하는 춤을 추면서 막을 내린다.
  •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 담당자 : 임이호
  • 연락처 : 033-660-3941~4
  • 최종수정일 : 2019-08-23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