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영동문화창달을 위한 학술대회

  • 영동문화창달을 위한 학술대회 사진 1
  • 영동문화창달을 위한 학술대회 사진 2
  • 제30회
    영동지역 인문학 연구의 미래 지향점 2023.11.15.
    • 영동지역 지역학 연구의 현황과 미래 지향점
    • 영동지역 시군지 편찬현황과 전망
    • 강릉지역 무형유산의 미래가치
    • 강릉지역 인문자원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사회적 자산화
    • 한송사의 역사적 내력 연구
    • 율곡 시의 시대적 성찰 및 지향
    • 강릉의 기자 신앙
    • 1920〜30년대 양양지역 청년운동
    • 강릉지역 석탄산업사 개관
    • 강릉지역 탄광 유물 전시관 건립 제안
    • 강원권 탄광문학과 세계문화의 지평
    • 탄광유산의 아카이브 구축 필요성과 실천방안
  • 제29회
    영동지역 인문자산의 대중화 2022.11.9.
    • 강원문화유산의 아카이브와 대중화 방안
    • 영동지역 고문헌의 DB구축 서비스 방안
    • 강릉오죽헌시립박물관 운영 활성화 과제
    • 국어논리 논슬 교육
    • 방옥윤의 <詩經原始>
    • 흄에게서 자아 형이상학
  • 제28회
    영동지역 인문자산의 가치 2021.11.10.
    • 영동지역 고문헌 현황과 활용 방안(정지연)
    • 강릉지역 폐사지의 문화자원적 가치(김진한)
    • 조선시대 江布에 관한 연구 (조상준)
    •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과 아카이브 구축 연구(유성선)
    • 디지털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국문학(김윤정)
    • 도시 社火의 각도에서 본 <南都繁會圖>의 가치(안상복)
  • 제27회
    코로나로 인한 자유주제 2020.10.26.
    • 마쓰모토세이초와 한국(한기련)
    • 바타이유와 에로티즘(이선우)
    • 번역본 '오만과 편견'에 나타난 번역의 문제(손남익)
    • 루쉰(魯迅) '새로 엮은 옛이야기 故事新論' 해석에 관한 일고찰(구문규)
    • 강릉문학의 로컬리티 재현 양상(이미림)
    • ‘강릉 선비문화 탐방길’ 조성과 활용방안(박영주)
  • 제26회
    강릉 인문학 연구의 수렴과 확장 2019.10.26.
    • 대학 교양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
    • 세계 인문학의 수용과 융합
    • 공존과 치유의 서사
    • 초연결시대의 인문학
    • 인문도시 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 강릉 지역인문유산의 재조명
  • 제25회
    강릉 인문학 연구 성과와 전망 2018.11.14.
    • 강릉의 언어문화(김무림)
    • 강릉문학 연구 성과와 전망(양문규)
    • 강릉 지역사 연구 성과와 전망(임호민)
    • 강릉 전통사상 연구 성과와 전망(박도식)
  • 제24회
    도시인문학의 쟁점과 전망 2017.11.08.
    • 도시-기호의 해석, 그리고 거주의 시학(김동윤)
    • 강릉과 이스트 코우커 : 윤후명과 T.S.엘리엇(김경화)
    • 근세 지역공동체 축제와 도시 그리고 사람들(안상복)
    • 도시와 인문학(조태동)
    • 강릉 인문도시 사업현황과 과제(박영주)
  • 제23회
    글로컬리즘의 인문학적 성찰 2016.11.09.
    • 글로컬 시대의 인문학 연구 방향(이재성)
    • 지방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로컬리티 연구(차철욱)
    •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 본 수성노인 형상 유래와 동아시아적 전개(안상복)
  • 제22회
    21세기 인문학의 구상과 활로 「공공인문학」 2015.11.04.
    • 공공인문학의 현재와 전망(송원찬)
    • 대중인문학의 비판과 공공인문학(최재식)
    • 역사소비시대 공공인문학의 향로(김정인)
  • 제21회
    영동문화창달과 문화생태올림픽 2014.11.26.
    • 상태주의와 다문화주의로 본 영동문학과 올림픽손님맞이 - 강릉 출신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이미림)
    • 문화올림픽과 지방사 읽기 – 17세기 강릉 정부자 영정과 영정·서원 사체 논의(이규대)
    •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생태주의와 평창동계올림픽(안진태)
  • 제20회
    문화올림픽으로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2013.11.26.
    •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준비현황'에 관하여(김학철)
    • 평화사의 관점에서 본 올림픽(이동기)
    • 동아시아 전통으로부터 문화올림픽의 비전 모색(안상복)
    • 문화축제로서의 동계올림픽의 신화적 상징과 방향(장영란)
  • 제19회
    지역문화 창달을 위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2012.11.21.
    • 한국근대소설의 세 가지 연구 동향(양문규)
    • 자연과학에 근거한 수치예보(이규태)
    • 고고학에서의 과학적 논증 절차의 문제(이성주)
    • 기름, 너의 정체는 무엇인고?(경영수)
    • 자연과학에 의해 심화된 형이상학의 정체성 위기 문제(이현모)
    • 미생물의 세계-그들의 소통과 생존 전략(김규중)
  • 제18회
    동해권역 지방문화의 어제와 오늘 2011.11.23.
    • 조선후기-한 말 정선지역의 사회변화(김대길)
    • 향토 민요 아리랑의 장르별 국면과 특성에 관한 논의(강등학)
    • 율곡의 사회인식으로 담론한 소통/개혁 연구(유성선)
  • 제17회
    영동문화의 현장성 탐구 2009.10.28.
    • 21C와 신명문화(김백현)
    • 대립관계의 지명어 고찰(김기설)
    • 강릉방언의 동명사어미에 대하여(박성종)
  • 제16회
    고대 영동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탐구 2008.10.29.
    • 예. 맥의 분포양상과 그 이해(박준형)
    • 고대 영동지역 토착세력의 갈래와 존재형태(문안식)
    • 물질문화를 통해 본 고대 영동의 문화적 정체성과 그 변천(이성주)
  • 제15회
    강릉지역의 전통문화 활동 2007.10.24.
    • 고려시대 몽고침략과 영동 지역민의 피난입보에 대하여(유재춘)
    • 강릉과 체육·스포츠문화에 대한 이해(김용근)
    • 향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연구(전일균)
  • 제14회
    관동팔경, 문학에 반영된 인간 삶과 경관 2006.10.25.
    • 관동팔경 누정기에 투영된 사유와 정서(박영주)
    • 소상팔경과 제화시(최일의)
    • [관동별곡]의 자연에 담긴 탈정치적 무의식(윤효녕)
  • 제13회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세계 2005.10.26.
    • 허난설헌의 생애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권리(허경진)
    • 허난설헌의 시집살이를 통해본 여성의 삶(정경숙)
    • 허난설헌 문학의 다양한 모습과 평가(박현규)
  • 제12회
    영동인물탐구 신사임당의 삶과 예술세계 2004.11.3.
    • 신사임당의 삶과 모성의 의미(박양자)
    • 신사임당의 예술세계(이영애)
    • 신사임당의 한시산책(정항교)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인가(이순구)
  • 제11회
    영동인물탐구 허균의 사상과 문학 2003.10.29.
    • 허균의 학풍과 정치이념(정호훈)
    • 허균시에 투영된 사유와 정서의 분방성(박영주)
    • [홍길동전]을 창작한 이유(설성경)
    • 속수사고전서총목제요·중 허균 문헌 해제에 관한 분석(박현규)
  • 제10회
    영동지역 문화연구의 새로운 방향 2001.11.14.
    • [향악잡영]과 산대놀이의 전통(안상복)
    • 관동팔경과 누정문학 유산(박영주)
    • 강릉지역 설화의 여성형상(정병헌)
    • 강릉학의 개념과 범위(장정룡)
  • 제9회
    영동의 민속과 문화에 대한 재조명 2000.11.8.
    • 향토민요아리랑의 존재양상과 장르적 동향(강등학)
    • 18세기 관동 삼공의 폐해(배재홍)
    • 익명성에 관한 철학적(현상학적) 고찰(최재식)
    • 강릉의 매김말 문향·예향고(정항교)
  • 제8회
    전통 제의와 지방문화의 정체성 1999.11.10.
    • 강릉국사성황제와 그 주도세력의 변천(이규대)
    • 고성 삼일포 매향비와 침향(정항교)
    • 헤카테의 신화-신화와 몰락(안진태)
  • 제7회
    영동문화의 현재적 조명 1998.11.14.
    • 강릉시병산동유적의 발굴조사약보고(백홍기)
    • 환동해문화론(임동권)
    • 율곡의 사단칠정론(서용화)
  • 제6회
    영동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1997.11.4.
    •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의 발굴·육성방안(장정룡)
    • 영동 소재 근·고시조의 제양상(이동철)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의 불보살신앙(정병조)
    • 중국고대 임종시에 관하여(김만원)
    • 브레히트 소외이론과 비아리스토텔레스적 극장(이혜경)
  • 제5회
    영동지역 연행문화의 전통과 오늘의 맥락 1996.10.23.
    • 강원특별자치도 민요의 정황과 지역적 양상(강등학)
    • 양중 연행문화의 전통과 전망(황루시)
    • 영동지역 민속놀이의 특질과 계승(김의숙)
    • 강릉지역 전통 공연예술의 오늘(신대철)
    • 영동지방 호설화에 나타난 호랑의 성격과 전승집단의 의식(정호희)
  • 제4회
    영동지역 무형문화의 특징 1995.10.24.
    • 강릉지방 유학보급에 있어서의 금란반월회의 역할(박양자)
    • 이승휴의 생애와 제왕운기(차장섭)
    • 영동 산간지역의 채취습속(장정룡)
    • 강릉지방 분청사기의 일고찰(홍순욱)
  • 제3회
    영동문화의 어제와 오늘 1994.10.26.
    • 동해안 풍어제의 유형과 그 사적 맥락(강등학)
    • 영동지역 시문학의 사적 흐름(엄창섭)
    • 조선후기 영동 양반가의 사노비 연구(정경숙)
    • 율곡 이이의 유학시고(정항교)
  • 제2회
    강릉·명주 지역의 문화 1993.10.27.
    • [관동별곡]의 시적 형상성(박영주)
    • 명주지역의 고건축(정재국)
    • 영동방언의 음운상 특질(김무림)
    • 영동지방 불교의 사회적 실태(이규대)
    • 한송정 다구고(정항교)
  • 제1회
    영동의 전통문화를 찾아서 1992.11.11.
    • 동해안의 마을신앙과 설화(장정룡)
    • 영동지역 논매는소리의 장르체계와 오독떼기의 장르형성(강등학)
    • 강릉지방 서원의 설립배경과 그 유학적 성격(박양자)
    • 강원 영동지방의 무문토기문화-속초 조양동유적울 중심으로(백홍기)

담당부서 정보 & 컨텐츠 만족도 조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담당부서 정보

  • 담당자오죽헌시립박물관 이세완
  • 전화번호033-660-3309
  • 최종수정일2023.06.07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