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농악
강릉농악
타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함 - 강릉농악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온 영동농악은 강릉농악을 중심으로 그 특색이 두드러진 마을 굿으로 당굿은 별로 하지 않으며 다른 지역에 없는 '달맞이굿'과 '횃불놀이', '놋다리 밟기','동고리 받기'가 있고 두레농악이라고 할 수 있는 '김매기', '질먹기'와 농사풀이 과장을 연희하는 것이 특징이다.
- 문의처(강릉농악보존회) 033-642-4470 / (문화유산과) 033-640-5580
- 행사장소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길 132
- 행사기간연중
- 주관강릉시, 강릉농악보존회
소개
전국6대농악(강릉농악 포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2014.11.27.
태백산맥 동쪽에 전승되어 온 영동농악은 강릉농악을 중심으로 그 특색이 두드러진 마을 굿으로 당굿은 별로 하지 않으며 다른 지역에 없는 '달맞이굿'과 '횃불놀이', '놋다리 밟기', '동고리 받기'가 있고 두레농악이라고 할 수 있는 '김매기', '질먹기'와 농사풀이 과장을 연희하는 것이 특징이다.
놀이과장
대체로 12과장이며 장소와 시간에 따라 생략되기도 하나 3과장 이하로는 연희하지 않는다. 연희과장 중 특색 있는 것은 물방아놀이, 거북이놀이, 소몰이놀이, 땅재주, 동고리 받기 등 고도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과장들이다.
강릉 농악은 단체위주의 놀이로 무동